418 0 0 9 7 0 1년전 0

불가촉천민: 그들은 누구이며 왜 불가촉천민이 되었는가?

불가촉천민제의 기원

‘마하르’라는 불가촉천민 계급으로 태어난 암베드카르 박사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과 영국 런던정경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도의 법무부 장관을 지내며 인도의 헌법을 만들기도 했다. 그럼 에도 여전히 카스트 차별을 받아야 했던 암베드카르 박사는 불가촉천민 해방을 위한 운동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이러한 불합리한 제도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관심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암베드카르 박사가 불가촉천민이라는 자신의 신분에 대해 힌두 경전들을 주로 인용하여 그 기원을 밝히고자 한 성과물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암베드카르 박사는 불가촉천민제가 불교와 브라만교의 패권 다툼 속에서 발생한 정치적인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암베드카르 박사에 의하면 브라만들은 불교에 대한 우위를 확립하기 위해 소고기 먹기를..
‘마하르’라는 불가촉천민 계급으로 태어난 암베드카르 박사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과 영국 런던정경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인도의 법무부 장관을 지내며 인도의 헌법을 만들기도 했다. 그럼 에도 여전히 카스트 차별을 받아야 했던 암베드카르 박사는 불가촉천민 해방을 위한 운동에 앞장섰을 뿐 아니라 이러한 불합리한 제도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관심 갖게 되었다. 이 책은 암베드카르 박사가 불가촉천민이라는 자신의 신분에 대해 힌두 경전들을 주로 인용하여 그 기원을 밝히고자 한 성과물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암베드카르 박사는 불가촉천민제가 불교와 브라만교의 패권 다툼 속에서 발생한 정치적인 결과라고 평가하고 있다. 암베드카르 박사에 의하면 브라만들은 불교에 대한 우위를 확립하기 위해 소고기 먹기를 포기하고 암소를 숭배하게 되었으며 극단적인 방법으로 채식주의를 선택했다. 브라만교는 불교 황제를 살해하는 피비린내 나는 혁명을 통해 패권을 장악했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패권을 잡은 브라만교는 자신들의 범법을 정당화하기 위해 권위적으로 오류가 없는 경전이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마누법전이다. 브라만교는 마누법전을 통해 카스트 제도를 법적으로 정당화했으며 이후에 패권 다툼에서 진 계급들은 불가촉천민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 책 속에서 암베드카르 박사는 브라만 학자들이 볼테르(Voltaire)와 같이 지적 정직성을 갖고 불가촉천민제의 불합리성을 폭로해주길 바라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결국 암베드카르 박사는 말년에 자신을 따르는 추종자들과 함께 불교로 집단 개종을 하게 되는데, 이 책은 그가 이러한 결단을 하기까지 얼마나 크게 고민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의 이러한 고민과 노력이 지금이라도 한국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
암베드카르 박사:
마하르 계급 출신의 암베드카르 박사는 불가촉천민의 지도자로 1947년 부터 51년까지 인도 법무장관을 지냈으며 불가촉천민에 대한 차별을 불법화하는 인도 헌법 구성에 앞장섰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